[Our Program]
인권의 이해를 넘어 연대까지, 강연을 넘어 인권콘서트까지

Numbers






[2025-2029]
인권교육 주제
인권의 이해 (인권개론)
존엄의 실현을 위해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맺은 일련의 원대한 약속, 최소한의 행위 목록을 바로 인권이라 부른다. 인권이 사회적으로 유용성을 가지려면 인권이 다른 사회적 가치와 무엇이 다른지 구분이 반드시 필요하다. 인권에 대한 뿌리 깊은 오해를 탐색함으로써 우리는 본질에 접근할 수 있다.
인권감수성
인권감수성이란 인권적 발견에 관여하는 힘이다. 무고한 타자의 울음과 고통 앞에 공명하는 불의감이기도 하다. 약자와 소수자를 동정하고 시혜적으로 접근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약자와 소수자의 감각으로 문제에 다가서는 힘이라고 봄이 타당하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권감수성의 성장을 모색한다.
인권심화 1 : 반인권기제
인권적 행동이 맞서고자 하는 일련의 문제들을 우리는 반인권이라 부를 수 있다. 더하여 인간의 존엄을 훼손하는 사회적 기제(機制)를 통칭하여 반인권기제라 부른다. 구체적으로 혐오, 범죄화, 낙인, 배제, 비가시화 기제와 사례, 그 대응을 집중하여 다룬다.
인권심화 2 : 연대와 정체성
사회운동 이론과 사회심리학 이론을 통해 수많은 개인이나 집단이 조금 더 나은 삶과 세상을 만들려는 인권적 역동에 어떻게 관여하게 되는지 여러 가지 동인과 추동력을 펼쳐본다. 특히 규범적 동기, 인디지니어스 네트워크, 집단적 정체성에 주목하여 특성과 함의, 시사점을 한국사회 속에서 고민한다.
인권북토크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공동체의 사회적 행복론, 인권을 향한 다양한 약자와 소수자의 역동에 관한 집필, 출간과정과 에피소드, 연구 서사와 발제, 주요 문장 낭독을 통해 보다 쉽고 감성적인 접근으로 존엄의 문제와 인권 담론에 다가선다. 인권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감각을 환기한다.
북유럽 인권콘서트
작가, 싱어송라이터, 재즈피아니스트, 시각예술인 등 다양한 문화예술 주체가 함께 꾸미는 무대다. 작은 낭독회부터 예술의 전당 등 전문 공연장까지 문화예술의 언어로 북유럽 자연과 삶의 관찰을 통해 인권적 삶의 방향을 모색한다. 사진 슬라이드가 함께한다.
[내용구성]
주제별 교육 예시
01. 인권의 이해 / 인권감수성
Basic Understanding Human Rights
[인권의 이해와 오해]
인권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오해하고 있는가? 인권의 핵심 탐색.
이론과 사례 통합 / 시민교육, 공직자 교육 등
[인권의 심장을 찾아서]
인권의 뿌리, 인권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인권개념의 구성과 함의를 모색.
인권학의 기초 / 시민교육, 공직자 교육 등
[인권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는 건]
인권의 이해를 기초로 인권감수성 관점에서 다양한 사례 탐구.
감성적 소구의 접근 / 시민교육, 주민아카데미 등
02. 인권심화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Human Rights
[인권과 반인권]
혐오, 낙인, 배제, 범죄화, 비가시화, 게토화, 스테이터스큐 등 반인권 기제의 사회학적 탐구
인권학, 사회학적 접근 / 인권 고관여층 대상
[우리는 어떻게 나쁜 세상과 싸우는가]
누군가는 인권의 적극적인 관여자가 되고 다른 누구는 방관자가 되는가? 인권적 역동과 연대 학습
인권학, 사회학적 접근 / 인권 고관여층 대상
[소수자와 집단적 정체성]
약자와 소수자 개념의 차이, 정체성 이론 검토 등을 통해 개인 및 조직의 자력화 탐구
인권학, 사회학심리학적 접근 / 인권 고관여층 대상
03. 문화예술 STAGE
Cultural Stage of Human Rights
[북유럽으로 떠나는 인권여행콘서트]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의 삶과 사람들, 자연과 공동체 이야기. 사진과 음악, 낭독.
작가와 뮤지션이 함께 꾸미는 인권무대 / 주최측의 무대 및 음향 지원 필요 / 인원 제한없음
[인권 북콘서트]
인권서 작가의 북토크, 문장의 낭독과 에피소드로 만나는 따뜻하고 감성적인 인권 읽기.
작가와 뮤지션의 공동 무대 가능 / 주최측의 무대 및 음향 지원 유동적 / 인원 제한없음
[인권시네마]
인권 문제를 다룬 영화를 함께 보고 관련 담론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인권의 본질에 접근.
영화 협의 / 주최측의 영화준비 필요 / 인원 제한없음


[교육 유형 안내]
인권교육 형식 (상세)
01
강의형
교육가 1인이 강연하되 집중도와 학습효과 재고를 위해 필요에 따라 아이스브레이킹, 흥미유발 및 동기부여 툴킷 등을 적용. 인권의 본질부터 인권감수성, 반인권 기제 탐구와 인권심화까지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폭넓은 주제로 구성.
- 2시간 / 3시간 / 4시간
02
토론형 / 참여형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의 참여, 발화가 담보된 경우 주요 인권이슈 및 담론에 관하여 토론과 논쟁, 숙의, 대안탐색 과정 등을 강연과 함께 구성한 형식. 30인 이하에 적합하고 4-6인 내외로 모둠 구성이 가능한 공간에서 진행. 기관 담당자의 지원 필요.
- 2시간 / 3시간 / 4시간 / 6시간
03
문화형
보다 감성적, 공감각적으로 인권의 이야기를 탐색. 인권영화 토크, 인권 북토크, 인권 낭독회, 뮤지션과 작가가 진행하는 인권음악회 등 주최 측의 여건과 공간 및 기자재 준비, 예산 등에 따라 조정. 대체로 리허설이 필요하며 현장 담당자 지원 필수.
- (리허설 제외) 90분
[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인권교육센터]
상임교육가 교육활동 약력
영국 로햄튼 사회대학원 인권정책학, 스웨덴 예테보리 국제대학원 인권이행학, 노르웨이 트롬쇠 사회인류대학원 인권이행학 전공.
에스토니아 탈린 Alliance TfT 수료, 독일 베를린 ASEF TfT 수료, 서울시인권강사양성과정 수료, 국제아동인권센터인권강사양성과정 수료.
비정부기구 NGO 국제교류협력사업 팀장, 대통령기구 행정사무관, 문화재단 거버넌스 운영위원 등 역임.
정부 및 공공기관 인권교육
국가인권위원회, 오산시인권위원회, 법무부, 대검찰청, 서울시청, 경기도청, 충남도청, 수원시청, 광명시청, 용인시청, 파주시청, 강북구청, 성북구청, 도봉구청, 영등포구청, 서대문구청, 오산고용노동복지플러스센터, 코이카, 서울교통공사, 서울산업진흥원, 서울의료원, 서울디자인재단, 서울시설공단, 서울교통방송,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사회복무교육센터, 경기도인재개발원, 등
교육, 문화, 시민사회 인권교육
충남평생교육진흥원, 서울보건사회연구원, 여성가족재단, 길상사, 광명자원봉사센터, 경기복지재단, 청년허브, (사)더나은세상, 하남종합사회복지관, 하자센터, 서울시각장애인생활이동지원센터, (사)월드투게더 등. 서울시립대학교, 꽃동네대학교, 서울보건사회연구원, 서울시립교향악단, 세종문화회관, 관악고등학교 등
인권콘서트 / 인권음악회 / 북토크
수원문화의전당, 의정부예술의전당, 남양주시다산홀, 부천시청, 노원구청, 안양시청, 고영시청, 동두천시아름다운문화센터, 성동구청, 킨텍스, 광명시청, 은평구청, 영등포구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