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인권교육센터 소개]
더 본질적이고 창의적인 인권교육의 시작

인권교육, 바르게 그리고 새롭게
2007년부터 진행된 다양한 인권교육 경험과 전문성을 토대로 인권의 본질과 주요 담론, 인권이행의 과제에 관한 창의적인 인권교육의 기획과 실천을 펼쳐냅니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흥미와 공감,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맞춤형 모듈을 바탕으로, 강의부터 문화형 프로그램, 워크숍 및 토론, 인디뮤지션과 피아니스트 등 문화예술인이 함께하는 인권콘서트까지 새롭고 다채로운 콘텐츠를 발굴, 기획하고 있습니다.
적지않은 인권교육에서 인권의 주요 개념과 토대가 인성교육으로 왜곡되며, 학습자가 인권을 마치 개인과 개인 간 도덕적 행동이나 배려, 혹은 선의에 기반한 태도양식으로 오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인권교육센터는 적확한 인권의 이해 / 자력화(Empowerment) / 인권실천(Human Rights Practice)과 연대의 전 과정에 바른 역할을 고민하겠습니다.
교육지향과 미션
영국,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주요 연구했던 인권학(Human Rights Policy & Practice), 사회학에 기초한 사회운동 이론(Social Movement Theories)과 사회심리학에 기초한 사회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ires)을 근간으로 보다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인권 담론에 집중합니다.

A set of educational questions are introduced along with an examination of two dominant studies on the subject: Human Rights Policy and Human Rights Practice.
다양하고 풍성한 콘텐츠와 표현을 가진 교육 : Multi-dimensional & Multi-disciplinary Approach
학습자가 인권을 더 깊고 풍성하게 인권을 감각할 수 있도록 강의, 강연, 워크숍, 북토크, 콘서트, 낭독회, 토론 등 형식(Formal)교육부터 비형식(Nonformal), 무형식(Informal)교육까지 다양한 콘텐츠와 교육모델, 사례를 연구하고 실천합니다.
인권의 본질과 특성이 분명히 드러나는 교육 : From State Human rights Obligations to Social Movement
인권교육은 도덕교육이나 인성교육이 아닙니다. 분명히 짚어야 하는 인권의 언어와 이야기가 있습니다. 인권감수성, 차별과 혐오, 국가책무성, 약자와 소수자, 제도적/정치적/구조적/규범적 접근, 인권이행과 연대 등 인권의 본질을 연구하고 실천합니다.
참여자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교육 : All Participants' Empowerment & Solidarity
인권교육은 지식의 전달이나 공유를 넘어 참여자 및 관여자 모두의 자력화와 연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 뿐 아니라 교육가, 매개자, 연구자가 함께 인권감수성을 성장시키고 인권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역동적인 교육을 연구하고 실천합니다.
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 사회적 행복에 관한 연구 / 집필 / 출간
- 인권에 관한 연구 / 집필 / 출간
- 존엄에 관한 연구 / 집필 / 출간
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인권교육센터
- 인권교육 기획 / 진행
- 인권콘서트, 북토크, 문화제 기획 / 진행
- 인권교육프로그램 자문
[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활동 영역
[한국존엄과사회연구소]
핵심역량
인권교육의 방법은 교과수업이나 강의와 같은 형식 교육(Formal education)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토론, 워크숍, 체험활동 등 다양한 비형식 및 무형식 교육(Nonformal & Informal education)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전문성
유럽의회 에라스무스문두스 인권학 석사 연구자가 기획과 진행 전과정에 함께 합니다.
유연성
4인의 집중형 교육부터 대중 집합형 문화스테이지까지 학습자와 참여자의 특성, 필요가 중심입니다.
창의성
인권 이해의 본질을 엄준하면서 다양한 사례와 이야기, 문화예술 관여를 통해 독창적으로 접근합니다.
확장성
인권기초부터 심화, 감수성 성장부터 논쟁적 담론, 나아가 심도있는 인권운동론까지 다룹니다.